군 복무 사실을 증빙하기 위해 지방 병무청장이 발급하는 병적증명서를 사용하게 됩니다. 군 복무를 마친 사람과 마치지 않은 사람 모두 발급 가능하며 서류 내용과 발급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병적증명서 내용
병적증명서에는 용도, 처리기간, 인적사항 그리고 군복무를 마친 사람과 마치지 않은 사람으로 구분하는 항목이 존재합니다.
군 복무를 마치지 않은 사람은 입영예정자, 병역면제자, 등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인사청문 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병적증명서 발급
병적증명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발급받을 수 있으며, 오프라인의 경우 병무청,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무인발급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*병적 증명서는 어디서든 무료로 발급이 가능한 서류입니다.
병무청(주민센터) 발급
병무청이나 주민센터가 근처에 위치해 있다면 직접 방문해 병적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하며 대리인이 방문할 경우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. 대리인이 가족이라면 가족관계 증명을 한 뒤 발급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.
- 본인 발급: 신분증
- 대리인 발급: 위임장, 대리인 신분증
병무청이나 주민센터 위치는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서 '병무청' 혹은 '주민센터'를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무인발급기
무인발급기에서 병적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. 이곳에서 무인발급기 위치와 운영시간을 확인한 후 방문하시면 됩니다. 무인발급기는 생체지문인식을 통해 본인 확인을 진행하기 때문에 신분증이 없어도 발급에 문제는 없습니다.
- 발급 서비스 → 병적증명서 → 주민번호 입력 → 생체지문인식
무인발급기에서 위 과정대로 진행하시면 군 복무를 마쳤는지 마치지 않았는지 선택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자신의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고 4가지 용도 중 하나를 터치합니다.
- 병적증명서 용도: 취업용 / 시험 응시용 / 보훈대상자 등록 / 기타
마지막으로 항목별 기재 유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군번, 계급, 입영 연월일 등의 항목이 존재하는데, '전체 기재'를 선택해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온라인 발급
정부24 홈페이지에서 병적증명서를 발급받고 출력 혹은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신청 후 발급까지 최대 10분 내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- 상단 링크를 통해 병적증명서 발급 사이트 접속
- '신청하기' 클릭
- 로그인
정부24 로그인을 하거나 비회원이라면 '비회원 신청하기'를 클릭하고 개인정보 입력 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- 신청하기
신고 내용에서 이름,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항목 별 기재 여부를 체크합니다. 마지막으로 수령방법에서 '온라인발급(본인출력)'을 반드시 선택해야 인쇄가 가능합니다.
민원을 신청한 뒤 민원 접수내역에서 처리상태가 '처리완료'로 표시된다면 '문서출력'을 클릭해 병적증명서 인쇄 혹은 PDF 저장이 가능합니다.